Spring Boot 정리(04)
Spring Boot를 이용한 RESTful API 개발 4번째 입니다. 간략하게 JPA 사용법과 도메인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며, Spring boot를 이용한 REST API 개발(03)에서 사용한 구현한 Repository를 변경하겠습니다.
Gradle 설정
먼저 dependenccy를 설정하기 위해 build.gradle을 수정하겠습니다. Spring boot를 이용한 REST API 개발(03)에서 설정까지 따라 하셨다면 build.gradle파일에서 dependencies
에 db에 관련된 dependency만 추가 하시면 됩니다.
1 | dependencies { |
application.yml 설정
PostgreSQL을 사용하며, 다운로드 및 설치는 여기에서 각 OS에 맞는 버전으로 다운받으신 후 설치하시면 됩니다.
다음 resources/application.yml
을 수정 합니다.
1 | server: |
table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해 hibernate를 사용하였습니다. jpa:show-sql: true로 설정하여 서버 구동시 쿼리를 확인합니다. 또한 jpa:hibernate:ddl-auto: create로 하게되면 서버를 실행할 떄 혹은 테스트를 진행할때 기존에 있던 테이블을 지우고 다시 만들게 됩니다.
먼저 코드를 변경했다고 치고 서버를 구동시켜 보면 다음과 같은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 Hibernate: drop table if exists account cascade |
그러니 실제로 운영중인 DB를 사용할 경우에는 조심하여야 합니다. (한번 실수가…)
Account 도메인 수정
이제 설정을 완료했으니 도메인을 정의해보죠.
1 | package com.ex.forblog.account; |
처음 보이는 @Entity 어노테이션의 경우 엔티티 클래스임을 지정하여 JPA가 엔티티로써 관리하며, 테이블과 매핑합니다. 보통 @Table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엔티티와 매핑할 DB 테이블을 지정하지만 생략시 엔티티 클래스 이름 혹은 (name = ‘….’)에 명시된 이름의 테이블로 매핑됩니다.
다음 @Id는 기본키를 매핑시켜주면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기본키 생성을 DB에 위임하여 사용하도록 설정됩니다.
@Column은 컬럼의 이름을 이용하여 지정된 필드나 속성을 테이블의 칼럼에 매칭한다. 역시 생략하면 속겅과 같은 이름의 칼럼으로 매핑됩니다. 자주 사용하는 속성만 정의해 보겠습니다.
name
은 매핑할 table 컬럼 이름, 기본은 객체의 필드 이름을 사용합니다. nullable
은 false로 설정하면 DDL생성시에 “NOT NULL” 제약조건을 추가해 줍니다. unique
는 true로 설정하면 uniqueConstraints와 같은 동작을 합니다.
추가적인 속성들은 학습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AccountRepository 수정
다음은 JpaRepository를 extends하여 Repository를 수정합니다.
1 | package com.ex.forblog.account; |
음.. 먼가 다 사라졌습니다. 지금까지 구현해야했던 sava(), findById(), delete() 메소드들은 JpaRepository에 이미 정의되어 있습니다. 코드를 확인하고 싶으시면 SimpleJpaRepository
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TEST
수정을 했으니 테스트를 확인해보죠. 처음 구현할 때 자신있게 될꺼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면 먼가 문제가 있는듯 보입니다.
1 | Detail: Key (email)=(hsoh@gmail.com) already exists. |
이미 있다고 하는데 지금까지는 unique = true
를 하지않았기 떄문입니다. 그럼 실제 테스트에서 처리하기 위해 @Transactional
를 붙혀줍니다.
1 | package com.ex.forblog.account; |
다시 테스트를 해보면 성공적으로 마쳤을꺼라고 예상됩니다.
마치며
원래는 자동 문서화도구인 Swagger도 연동해보려고 했지만 springdoc를 사용하는게 기존 controller코드를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을꺼 같아서 학습을 하려고 합니다. 정리가 되면 spring doc 사용법과 OAuth2.0 사용법을 정리하겠습니다.